story

엄마 가방 속 필수템

피부 장벽 보호, 보습, 상처 치유, 아토피 피부염 관리 등 피부 건강에 도움 되는 제품에 대한 관심이 뜨겁습니다. 피부 관리를 위해 매번 피부과에 방문하지 않아도 손쉽게 일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방 속 필수템! 덱스판테놀에 대해 알아봅니다.

김효진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 약제팀장

덱스판테놀은 판토텐산의 유도체로
상처 및 기저귀 발진 등 피부 질환의 치료에
보조적으로 사용되거나 판토텐산의
보급을 위해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판토텐산(pantothenic acid)은 비타민 B5의 다른 이름으로, 모든 동물은 세포 에너지 생성과 지방산 합성, 아미노산 합성, 신경 전달 물질인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합성 등에 필수적인 코엔자임 A(Coenzyme A, CoA)를 합성하기 위해 판토텐산이 필요합니다.

판토텐산은 1931년 비타민과 인체 영양에 대한 연구로 명성을 얻은 미국의 로저 존 윌리엄스(Roger J. Williams, 1893–1988)가 미생물 성장 인자에 대한 연구를 하던 중 우연히 발견하였습니다. 이후 1933년 많은 종류의 음식에 골고루 함유되어 흔한 이 성분을 ‘모든 곳에서(from everywhere)’라는 뜻의 그리스어 πάντοθεν(pantothen)에서 차용해 pantothenic acid라 명명했다 합니다. 이름에 걸맞게 판토텐산은 거의 모든 동·식물군에 널리 함유되어 있으며, 인체에서도 소량 합성됩니다.

덱스판테놀은 생물학적 활성 형태로,
피부와 점막에 쉽게 침투하여
판토텐산으로 빠르게 산화됩니다

판테놀(panthenol)은 판토텐산의 안정한 알코올 유도체로, 판토텐산과 달리 피부를 통해 잘 흡수됩니다. 피부와 점막에서 빠르게 흡수되어 즉시 판토텐산(비타민 B5)으로 전환되므로 프로비타민 B5(provitamin B5)로 불립니다. 판테놀은 우선 회전성 형태(덱스판테놀)와 좌선 회전성 형태(레보판테놀)를 모두 포함하는 라세미 혼합물로 존재하는데, 덱스판테놀(dexpanthenol, D-panthenol)은 생물학적 활성 형태로 피부와 점막(장 점막을 포함)에 쉽게 침투하여 판토텐산으로 빠르게 산화됩니다.

판토텐산은 흡습성이 높아 피부의 가려움증과 염증을 감소시키고 표피 상처의 치유 속도를 촉진하며 피부 탄력을 향상할 뿐 아니라 광범위한 효소 반응과 세포 생장에서 중요한 보조 효소인 코엔자임 A의 생합성에도 사용됩니다. 섬유 아세포 증식 향상, 세포 이동, 콜라겐 합성 등에 관여하며 피부의 세포 증식 및 재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여 피부 재생과 염증 완화에 도움을 주고, 건강하게 피부가 회복될 수 있도록 돕습니다. 판토텐산에서 생합성되는 코엔자임 A는 세포 에너지 생성과 지방산·아미노산·아세틸콜린 합성 등에 사용되는데, 아세틸콜린은 부교감 신경계의 신경 전달 물질로 정상적인 장 기능을 유지합니다. 1950년대 수술 후 환자에서 판토텐산의 결핍이 장 마비에 기여하는 요인임이 밝혀지기도 하여, 덱스판테놀은 경구 및 주사제 형태로 판토텐산 결핍 및 수요 증대 시 예방 및 치료 목적으로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덱스판테놀은 피부 장벽 개선 특성을 지닌
보습제이면서 상처 치유 촉진제로,
아토피 피부염, 기저귀 발진, 수유기 중의
젖꼭지 갈라짐, 피부염과 상처 관리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엄마 가방 속
필수템입니다

덱스판테놀은 침투성이 좋고 국소 농도가 높아 연고와 로션 같은 국소 제품에 사용됩니다. 보습과 피부 장벽 강화에 효과가 있으며, 피부 자극을 예방하고 피부 재생을 촉진하며 상처 치유를 돕는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1944년 최초의 국소 덱스판테놀 제제 연고가 처음 출시된 이후 현재까지 연고, 크림, 겔뿐 아니라, 건조한 코점막의 손상 치료에 보조적으로 사용되는 나잘 스프레이 등 다양한 국소 덱스판테놀 제제가 존재하며, 소아용에서 성인용까지 광범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덱스판테놀 성분 연고는 ‘상처, 화상, 찢긴 상처(수유기 중의 젖꼭지 갈라짐 등), 욕창, 급·만성 피부염, 습진, 피부 궤양, 기저귀 발진, 햇볕에 탄 데(일광 피부염)의 보조 치료’의 적응증으로 허가받은 일반 의약품입니다. 의약품은 약리학, 제제학적 자료, 임상 시험 등을 통해 안전성과 유효성이 확인되어야 허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의약학 논문 검색에 주로 활용되는 PubMed에서 키워드를 검색하면, ‘pantothenic acid’로는 1934년부터 3,950개, ‘dexpanthenol’은 1945년부터 408개, ‘D-panthenol’은 1945년부터 435개의 논문이 검색됩니다(Accessed Dec. 12, 2024.). ‘dexpanthenol'은 ‘국소’, ‘피부’, ‘비강’, ‘눈’이 연결 검색어로 뜨며, 최근에 더욱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보습 및 상처 치유 성분입니다.

80년 가까이 육아와 피부 관리를 위한 엄마들의 필수템으로 비교적 안전하게 사용되고 있는 성분이지만, 부작용 없는 약은 없으므로 덱스판테놀 제제도 필요할 때 용법에 맞춰 사용하여야 합니다.

덱스판테놀 단일제 연고는 약 성분에 과민 반응이 있는 환자나 감염성 또는 삼출성(염증 등에 의해 혈액 성분이 혈관 밖으로 스며 나오는 상태) 피부병 환자는 사용하지 말아야 합니다. 수유기 중 젖꼭지 갈라짐에는 매 수유 직후 젖꼭지에 바르고 수유 전에 닦아 냅니다. 또, 덱스판테놀 연고 적용 시 드물게 알레르기 피부 반응이 나타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덱스판테놀 단일제 주사제는 혈우병 환자에게는 사용하지 말아야 하고, 고혈압 증후가 나타나면 투여를 중지합니다. 덱스판테놀 단일제 주사제 투여 시 피부 가려움증, 붉은 반점, 가벼운 혈압 저하, 고령자의 경우 약간의 흥분 등이 나타날 수 있고, 드물게 구토, 설사, 복통 등도 나타난 것으로 보고되어 주의가 필요합니다.